순자산가치 (NAV, Net Asset Value)
▶ ETF 1주당 순자산가치로 Holding된 주식, 채권, 현금을 모두 포함하는 자산총액에서 ETF 운용중 발생한 부채총액을 차감한 순자산가액
- ETF의 부채 : ETF 운용사에 지급되는 운용 보수를 의미함.
▶ 기업이 연말결산을 통해 자산, 부채, 매출, 이익을 산출하여 순자산가치(NAV)를 산출하듯이 ETF도 보유자산의 가치와 수량, 지급해야할 부채를 정리함.
▶ NAV는 전일 종가 기준으로 하루 한번씩 산출해 발표되며 한국거래소 홈페이지, 자산운용사 홈페이지, 증권사 HTS/MTS에서 쉽게 확인 가능
▶ NAV의 계산법
▶ NAV는 ETF에 편입된 기초종목의 가격에 따라 움직이는 반면, 시장가격은 ETF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됨.
- 특정 ETF에 대한 투자자의 수요가 갑자기 늘어난다면 ETF의 시장가격이 갑자기 치솟고, NAV의 괴리율이 높아질 수 있음.
괴리율
▶ ETF와 기초지수는 거래 시간의 차이, 유동성 공급 부족 등으로 일시적인 가격차이가 발생하며 이러한 격차를 괴리율이라고 함.
- ETF 시장가격이 NAV보다 높으면 할증(Premium), NAV보다 낮으며 할인(Discount)로 표현
- 할증(Premium)일 때는 높은 가격에 매수할 위험이 있고, 할인(Discount)면 낮은 가격에 매수할 기회가 생기는 것
- 괴리율은 1% 이내에서 움직이는 것이 안전하다고 할 수 있음.
▶ 괴리율의 계산법
▶ 괴리율의 발생원인 1
- 유동성이 낮은 종목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
- 투자자 간의 호가 경쟁이 치열하지 않기 떄문에 호가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거나 호가당 수량이 적어 한두번의 거래가 체결되는 것만으로도 가격이 정상범위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됨.
▶ 괴리율의 발생원인 2
- 분배금 및 기타 비용 이슈
- 배당 소득세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배금 지급이 결정되기 전에 매도하거나 배당소득세를 감안해 정상가격보다 낮게 매수할 때
- 분배금, 운용보수 등 기타 비용을 지급하게 되면 순자산가치(NAV)가 줄어들기 때문에 괴리가 발생할 수 있음.
▶ 괴리율의 발생원인 3
- 공급지연 이슈
- 거래가 급증하면 유동성공급자(LP)가 증권을 공급해야 하는데 유통 주식 수가 없어 ETF 추가 공급이 지연되는 경우
▶ 괴리율의 발생원인 4
- 장 종료시점에 단일가매매가 발생할 수 있음
- 장 종료시점 단일가 매매시간에는 유동성공급자(LP)가 유동성을 공급해야하는 의무가 없기 때문에 시장가로 주문을 넣을 경우
▶ 괴리율의 발생원인 5
- 거래시간이 다를 경우
- 해외지수, 원자재 ETF 등은 24시간 거래되기 때문에 국내 장 종료 후 순자산가치(NAV)를 반영하지 못하여 괴리가 발생할 수 있음.
- 한국 증시가 이미 마감된 상황에서 해외 시장의 자산가격이 크게 변동된 경우 괴리율이 확대될 수밖에 없음.
- 미국처럼 가격 제한 폭이 없는 거래소에서 기초 자산의 가격이 30%를 넘더라도 국내상장 ETF는 가격 제한폭인 30%까지만 움직이기 때문에 괴리율이 커질 수 있음.
▶괴리율과 LP
- 유동성 공급자(LP, Liquidity Provider) : ETF가 거래되는 과정에서 유동성을 공급해주는 증권사를 말하며 투자자 사이에서 물량을 사고 팔며 괴리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함.
- 괴리율이 지나치게 커지면 유동성 공급자(LP)들이 개입해 괴리율을 낮춰주기 때문에 다시 정상수준을 회복하기 마련이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해당 ETF의 투자에 유의해야함.
ETF 거래 시 괴리율은 반드시 확인 필요
▶ 괴리율은 일시적으로 높아져도 다음 거래일까지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
▶ "괴리율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오래 지속되는 ETF는 거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"
- 이것은 수급상의 문제와 적정가격을 형성하지 못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며 괴리율이 원인이 되어 지수가 2% 상승할 때 ETF 수익율이 1.5%에 불과하다면 투자자는 그만큼의 손해를 보는 셈이 됨.
괴리율 공시
▶ 2013년 말부터 괴리율이 1% (해외 2%)일 경우 운용사가 이를 공지하도록 의무화
▶ 한 분기에 20거래일 이상 괴리율이 적정기준(국내 3%, 해외 6%)를 넘어선 경우 LP 교체를 요구할 수 있고 1개월 이내에 LP가 교체되지 않으면 해당 ETF는 상장폐지될 수 있음.
※ 본 내용은 한국증권거래소 홈페이지와 블로그 등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.
'투자공부 > 경제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용어정리] YC(Yield Curve)와 YCC(Yield Curve Control) (0) | 2021.04.20 |
---|---|
[용어정리] 양적완화와 질적완화 (0) | 2021.04.19 |
[용어정리] 증거금 제도(마진콜; Margin Call) (0) | 2021.04.06 |
신흥국채권지수(EMBI) (0) | 2021.04.04 |
MSCI지수와 FTSE지수 (0) | 2021.03.30 |